회원 로그인
마티즈 운전자의 오판 [이성주의 건강편지]
\"원칙은 피곤하지만 결국 우리를 위한 것\"
기본의 중요성,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인터넷에서는 ‘김 여사’를 성토하는 댓글들이 홍수를 이루고 있더군요. 인천대교 버스 추락 사고에 빌미를 제공한 마티즈 운전자를 비난하는 목소리였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45세의 마티즈 운전자 김 모 씨가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 차에 이상이 생겨 멈췄고, 이때 과적차량 단속직원이 “컨베이어 벨트가 이상한 것 같으니 고쳐서 가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운전자 김 씨가 “아들을 데리러 가야 한다”며 운전하다가 도로 2차선에서 차가 멈춰선 것 같습니다.
김 씨는 갓길로 내려서 보험회사 직원과 통화를 하고 있었는데 그 순간 멀리서 달려오던 트럭이 이 차를 뒤에서 박고 중앙분리대와 충돌했고, 뒤에 바짝 붙어오던 버스 운전사는 마티즈를 들이박고 10m 다리 밑으로 추락한 것이죠.
경찰에 따르면 이 사고는 트럭 및 버스 운전자의 과속과 버스 운전기사의 안전거리 미확보가 가장 큰 원인인 듯합니다. 톨게이트를 지날 때에는 권장속도인 30㎞를 지켜야 하지만 하이패스 차선을 그냥 냅다 달린 듯합니다.
아주머니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지요. ‘고장 난 승용차’를 무리하게 몰지 않았더라면, 두 번 째 정지 때에 갓길에라도 세웠더라면 대형 참사가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경찰은 후방 100m에 삼각대를 설치하지 않은 데 대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하지만 글쎄요, 차들이 쌩쌩 달리는 고속도로 2차선에서 그것이 가능할까요?
보통 때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을 수도 있습니다. \'김여사\'는 승용차를 고친다고 아들을 제 시간에 데려 오지 못했다면 누군가에게 되레 핀잔을 받았을지 모릅니다. 과적차량 단속직원이 좀 더 강하게 만류할 수도 있었지만, 이럴 경우 되돌아오는 것은 욕뿐이기 십상입니다.
트럭과 버스 운전기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원칙대로 안전속도를 지키면 굼벵이 운전하느냐는 비난을 받곤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규칙을 따르는 사람을 ‘범생’으로 하찮게 여기는 문화가 있지 않습니까? 안전거리를 지키면 온갖 차가 끼워들고 누군가 “다른 차 끼워주다가 언제 가느냐”고 비난합니다. 도로관리공단 직원 중 누군가 가드레일의 문제점에 대해 얘기했을 수도 있겠지요. 이때에도 “네 일이나 잘하라”는 핀잔을 받기 십상이지요.
원칙은 피곤합니다. 지켰다가 손해를 볼 수도, 욕을 먹기도 합니다. 그러나 원칙이야말로 우리를 지켜줍니다. 특히 운전은 생명과 관계가 깊기에 교통규칙은 운전자를 얽어매기 위해서가 아니라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얼마 전 집 부근에서 스쿨버스가 아이들을 내리는 데 뒤에서 한 여성운전자가 경적을 울리는 것을 보고 속이 끓은 적이 있는데, 운전의 ABC를 모르는 사람은 핸들을 잡으면 안 됩니다.
대형 사고는 늘 여러 가지 원인이 겹쳐서 일어납니다. 누군가 한 두 명이라도 고집스럽게 원칙을 지켰다면 8살배기가 온 가족을 잃고 눈물을 흘리지 않아도 됐을 텐데…. 참 울가망한 주말이었습니다.
================
※ 울가망 : 근심스럽거나 답답하여 기분이 나지 않음. 또는 그런 상태.
기본의 중요성,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인터넷에서는 ‘김 여사’를 성토하는 댓글들이 홍수를 이루고 있더군요. 인천대교 버스 추락 사고에 빌미를 제공한 마티즈 운전자를 비난하는 목소리였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45세의 마티즈 운전자 김 모 씨가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 차에 이상이 생겨 멈췄고, 이때 과적차량 단속직원이 “컨베이어 벨트가 이상한 것 같으니 고쳐서 가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운전자 김 씨가 “아들을 데리러 가야 한다”며 운전하다가 도로 2차선에서 차가 멈춰선 것 같습니다.
김 씨는 갓길로 내려서 보험회사 직원과 통화를 하고 있었는데 그 순간 멀리서 달려오던 트럭이 이 차를 뒤에서 박고 중앙분리대와 충돌했고, 뒤에 바짝 붙어오던 버스 운전사는 마티즈를 들이박고 10m 다리 밑으로 추락한 것이죠.
경찰에 따르면 이 사고는 트럭 및 버스 운전자의 과속과 버스 운전기사의 안전거리 미확보가 가장 큰 원인인 듯합니다. 톨게이트를 지날 때에는 권장속도인 30㎞를 지켜야 하지만 하이패스 차선을 그냥 냅다 달린 듯합니다.
아주머니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지요. ‘고장 난 승용차’를 무리하게 몰지 않았더라면, 두 번 째 정지 때에 갓길에라도 세웠더라면 대형 참사가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경찰은 후방 100m에 삼각대를 설치하지 않은 데 대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하지만 글쎄요, 차들이 쌩쌩 달리는 고속도로 2차선에서 그것이 가능할까요?
보통 때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을 수도 있습니다. \'김여사\'는 승용차를 고친다고 아들을 제 시간에 데려 오지 못했다면 누군가에게 되레 핀잔을 받았을지 모릅니다. 과적차량 단속직원이 좀 더 강하게 만류할 수도 있었지만, 이럴 경우 되돌아오는 것은 욕뿐이기 십상입니다.
트럭과 버스 운전기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원칙대로 안전속도를 지키면 굼벵이 운전하느냐는 비난을 받곤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규칙을 따르는 사람을 ‘범생’으로 하찮게 여기는 문화가 있지 않습니까? 안전거리를 지키면 온갖 차가 끼워들고 누군가 “다른 차 끼워주다가 언제 가느냐”고 비난합니다. 도로관리공단 직원 중 누군가 가드레일의 문제점에 대해 얘기했을 수도 있겠지요. 이때에도 “네 일이나 잘하라”는 핀잔을 받기 십상이지요.
원칙은 피곤합니다. 지켰다가 손해를 볼 수도, 욕을 먹기도 합니다. 그러나 원칙이야말로 우리를 지켜줍니다. 특히 운전은 생명과 관계가 깊기에 교통규칙은 운전자를 얽어매기 위해서가 아니라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얼마 전 집 부근에서 스쿨버스가 아이들을 내리는 데 뒤에서 한 여성운전자가 경적을 울리는 것을 보고 속이 끓은 적이 있는데, 운전의 ABC를 모르는 사람은 핸들을 잡으면 안 됩니다.
대형 사고는 늘 여러 가지 원인이 겹쳐서 일어납니다. 누군가 한 두 명이라도 고집스럽게 원칙을 지켰다면 8살배기가 온 가족을 잃고 눈물을 흘리지 않아도 됐을 텐데…. 참 울가망한 주말이었습니다.
================
※ 울가망 : 근심스럽거나 답답하여 기분이 나지 않음. 또는 그런 상태.





1,203개(5/61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1123 | 부귀불능음(富貴不能淫)..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2767 | 2011.03.10 01:01 |
1122 | 결정을 내리기 전, 물 한 잔[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225 | 2011.03.04 01:01 |
1121 | 善한 독재란 없다!! | 구태익 | 1218 | 2011.03.02 01:01 |
1120 | 49재(齋)의 의미 | 구태익 | 2375 | 2011.01.20 01:01 |
1119 | 연말회송(年末悔頌)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135 | 2010.12.29 01:01 |
1118 | 少不勤學老後悔..?? | 구태익 | 1228 | 2010.12.29 01:01 |
1117 | 천붕(天崩) | 구태익 | 1641 | 2010.12.11 01:01 |
1116 | 눈 내린 길을 걸을 때... | 구태익 | 1551 | 2010.11.16 01:01 |
1115 | 부모의 사랑을 닮은 낙엽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240 | 2010.11.08 01:01 |
1114 | 행복 만들기 10가지 방법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212 | 2010.10.11 01:01 |
1113 | 명품 아닌 명품녀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432 | 2010.09.16 01:01 |
1112 | 세계적인 육종학자 우장춘박사의 눈물 | 구태익 | 1635 | 2010.09.14 01:01 |
1111 |
석주 이상룡의 꿈 [이성주의 건강편지]
![]() |
구태익 | 1479 | 2010.09.13 01:01 |
1110 | 오서코치를 위한 변명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279 | 2010.08.30 01:01 |
1109 | '정의론'을 생각케 한 청문회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196 | 2010.08.26 01:01 |
1108 | [수필] 메뚜기 : 김철수교수 | 구태익 | 1676 | 2010.08.25 01:01 |
1107 | 가족호칭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672 | 2010.08.14 01:01 |
1106 | "잊혀진 계절"은 잘못된 표기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557 | 2010.08.13 01:01 |
1105 | 자장면 나오셨습니다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275 | 2010.07.12 01:01 |
>> | 마티즈 운전자의 오판 [이성주의 건강편지] | 구태익 | 1222 | 2010.07.06 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