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땅의 눈물, 땅의 희망-2

구태익 | 2002.08.22 01:01 | 조회 3457
[우리땅을 읊다] 2. 줄기를 키우려면 뿌리부터 보살피라

\"청계천 살리자\" 세종때도 논란, \"물 맑아야 심성 맑아져\" 집현전 학자 淨化 주장
\"사람 모이면 오염 당연\" 현실론자 반대로 묵살


청계천 복원을 둘러싸고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복원을 함으로써 도시 중심에 생태공간을 조성하자는 명분에 반대할 이유는 없다.

교통 혼란은 어찌 할 것이며 그 주변에서 생계를 꾸려가던 사람들의 \'우린 어쩌란 말이냐\'는 항변도 충분히 이유가 있다.

세종 26년 집현전 수찬 이선로는 이렇게 개천(청계천의 본 이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근자에 성 안 개천에다가 냄새나고 더러운 물건을 버리는 일이 잦아 개천 물이 몹시 더러워졌는데, 그런 쓰레기를 버리는 일을 금지시켜 명당수를 청정케 하라\"는 것이었다. 이 제안은 세종의 관심을 끌었다.

풍수에서 명당수의 맑고 더러움은 거기에 살고 있는 주민의 심성을 대변한다고 하여 매우 중시하는 부분이고, 이 점 이선로의 제안과 세종의 호의적 관심은 너무나 당연했다. 문제는 풍수를 현재의 시점에서 미신이라 생각한다는 점이다.

조선의 역대 임금 중 가장 과학자인 분이 누구였느냐고 묻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저없이 세종대왕을 떠올릴 것이다. 가장 과학적인 임금이 단지 미신에 불과한 풍수를 믿었다면, 풍수는 과학인가 미신인가? 대답은 간단하다. 풍수는 당시로서는 의심의 여지없는 지리과학이었다.

그러나 이 꿈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집현전 교리 어효첨을 비롯한 중신들은 현실론을 들어 명당수 정화론을 매도했다. 수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서울의 명당수는 어차피 더럽혀 질 수밖에 없는 것인데, 어찌 풍수와 같은 요망한 술법 때문에 개천의 맑음을 주장하는가라는 것이 현실론자들이 요지였다.

나는 그 때 명당수를 맑게 하는 어떤 방법을 모색하고 그를 시행했다면 오늘의 서울은 세계적인 생태도시가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당시는 봉건왕조 시대였고 따라서 토지수용도 간단했으려니와 노동력의 공급도 지금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쉬웠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로 인해 고역을 치를 백성들조차 내몰라라 하는 멍청이는 아니다. 영웅의 출현은 백성의 재앙이라 하지 않던가. 그러나 어쩌겠는가. 이건 전쟁이 아니다. 줄기를 키우려면 뿌리부터 보살피라고 했다. 청계천을 복원하자면 가장 중요한 것이 깨끗한 물의 지속적인 공급이다. 그를 위해서는 청계천으로 유입되는 지류들부터 정화해나가야 한다.

그렇게 하면 일거에 공사를 일으켜 수많은 폐단이 눈에 보이는 듯한 밀어붙이기식 복원보다는 조그만 지천들부터 아름답게 가꿔 그 결과를 보아가며 복원을 해도 늦지 않을 것이다.

지금 청계천 지류인 정릉천은 어린이들이 물에 들어가 놀 정도로 맑음이 나아졌다. 청계천 지류는 아니지만 양재천의 수질과 주변 생태계의 회복 속도는 또 하나의 증거를 제시한다. 뿌리인 지천부터 살리자.

최창조칼럼 : 2002.08.22 중앙일보에서 인용

http://www.joins.com/component/photo_mmdata/200208/pho_2002082118032511001110-001.JPG\" width=300 height=200>
▶ ①우백호(右白虎) 인왕산 ②좌청룡(左靑龍) 낙산 ③경복궁 ④창덕궁 ⑤종묘
⑥종로 ⑦청계천 ⑧한강 ⑨중랑천 [그림=홍성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455개(22/23페이지)
참고자료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5 빛과 색채의 화가 르노와르 작품들-2 사진 구태익 3343 2002.09.15 01:01
34 땅의 눈물, 땅의 희망-5 구태익 3097 2002.09.12 01:01
33 뜻으로 본 한국의 옛그림-1 : 산수화 사진 구태익 4219 2002.09.08 01:01
32 답글 뜻으로 본 한국의 옛그림-2 : 풍속화 사진 구태익 4056 2002.09.08 01:01
31 빈센트 반고흐의 드로잉(drawing) 습작들 사진 구태익 3343 2002.09.08 01:01
30 땅의 눈물, 땅의 희망-4 구태익 3124 2002.09.06 01:01
29 팔꿈치지대(Personal space) 구태익 3484 2002.08.31 01:01
28 땅의 눈물, 땅의 희망-3 구태익 3456 2002.08.30 01:01
27 17세기 프랑스정원 : <월간미술>에서 옮김 사진 구태익 5730 2002.08.24 01:01
26 답글 18세기 영국정원 : <월간미술>에서 옮김 사진 구태익 6031 2002.08.24 01:01
25 한국의 민가조경 : <월간미술>에서 옮김 사진 구태익 4430 2002.08.24 01:01
24 답글 한국의 궁궐조경 : <월간미술>에서 옮김 사진 구태익 4563 2002.08.24 01:01
>> 땅의 눈물, 땅의 희망-2 구태익 3458 2002.08.22 01:01
22 땅의 눈물, 땅의 희망-1(펀글) 구태익 3326 2002.08.19 01:01
21 일시적 경관 : Ephemeral Landscape 사진 첨부파일 구태익 3719 2002.08.07 01:01
20 월드컵을 통해 본 한-일 국민성 차이 : 생각하는 글 구태익 3769 2002.07.30 01:01
19 지리산의 사계 구태익 3166 2002.07.28 01:01
18 백두산의 사계 사진 구태익 3283 2002.07.28 01:01
17 왕비의 고향 메디아/ 첨부파일 이성춘 3206 2002.07.06 01:01
16 세번째 이야기 첨부파일 이성춘 3178 2002.07.06 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