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별서-16 : 창녕 아석원
더 자세한 도면을 보시려면 asok_won.jpg를 클릭하십시오...
이 정원은 경남 창녕군 대지면 석리에 위치하며 성윤경(成潤慶,1903-1975)씨가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주요 건물은 아석 성규호(成圭鎬1832-1889)씨에 의해 이미 조
성되어 있었다. 후손인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성대경(成大慶)교수와의 면담에 따르면,
성윤경씨는 일제때 도평의원을 지내기도 한 친일파이며 별다른 학문을 하지는 않았으
나 선진농업기술을 받아들여 부를 축척한 상당한 재력가였다고 한다. 정원조성을 지
휘 감독한 사람은 창녕읍에 살던 공(孔)목수로 알려져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측량 당
시(1989) 안채와 사랑채 같은 주요 건물은 모두 철거되고 가묘(家廟)와 한반도 모양
을 본뜬 연못 주변의 정원 일부만이 남아 있었다.
출처 : 유병림,황기원,박종화(1989). <조선조 정원의 원형연구> 부록에서 인용
(당시 연구원으로 참가하여, 자료수집과 측량 등 연구진행을 맡음)

이 정원은 경남 창녕군 대지면 석리에 위치하며 성윤경(成潤慶,1903-1975)씨가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주요 건물은 아석 성규호(成圭鎬1832-1889)씨에 의해 이미 조
성되어 있었다. 후손인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성대경(成大慶)교수와의 면담에 따르면,
성윤경씨는 일제때 도평의원을 지내기도 한 친일파이며 별다른 학문을 하지는 않았으
나 선진농업기술을 받아들여 부를 축척한 상당한 재력가였다고 한다. 정원조성을 지
휘 감독한 사람은 창녕읍에 살던 공(孔)목수로 알려져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측량 당
시(1989) 안채와 사랑채 같은 주요 건물은 모두 철거되고 가묘(家廟)와 한반도 모양
을 본뜬 연못 주변의 정원 일부만이 남아 있었다.
출처 : 유병림,황기원,박종화(1989). <조선조 정원의 원형연구> 부록에서 인용
(당시 연구원으로 참가하여, 자료수집과 측량 등 연구진행을 맡음)





